명절은 전 세계 모든 문화권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 날입니다.
가족, 전통, 신앙, 공동체의 의미가 결집되는 명절 기간 동안에는 각 나라만의 특별한 풍습과 의식, 그리고 피해야 할 금기사항들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명절 금기는 단순히 예절을 넘어서 영적 의미, 조상의 존중, 사회적 통념, 신의 영역과도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외국인이 이러한 규범을 모르고 행동했다가는 불쾌감을 주거나 심각한 무례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세계 각국의 명절 기간 중 절대 해서는 안 되는 행동들, 다시 말해 명절에 피해야 하는 행동에 대해 소개드리겠습니다.
여행자나 이민자, 다문화 환경에서 생활하시는 분들께 특히 유용한 내용이니 꼭 끝까지 읽어보시길 권장드립니다.
중국은 춘절에는 절대로 깨뜨리지 마세요
중국 최대의 명절인 춘절(春节), 즉 음력 설날은 한 해의 시작을 상징하는 가장 중요한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가족들이 모여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고, 운을 불러들이는 여러 의식을 치릅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조심해야 할 행동 중 하나는 그릇이나 유리 등의 물건을 깨뜨리는 행위입니다.
중국어로 ‘깨지다(破)’는 단어가 ‘불운, 파국’을 의미하는 단어와 발음이 비슷하기 때문에,
춘절 기간에 무언가를 깨뜨리는 것은 재물의 손실이나 가족의 이탈을 예고하는 나쁜 징조로 간주됩니다.
만약 실수로라도 컵이나 접시가 깨졌다면, 즉시 “歲歲平安(수이수이핑안, 해마다 평안하길)”이라고 외쳐 불운을 막는 말로 상쇄해야 합니다.
피해야 할 행동 요약
설날 기간엔 유리, 도자기, 거울 등 깨지기 쉬운 물건은 조심해서 다뤄야 합니다.
쓰레기를 명절 첫날 아침에 버리는 것도 ‘운을 버리는 행동’으로 간주됩니다.
빨간색 속옷을 입지 않으면 액운을 피하기 어렵다는 믿음도 존재합니다.
태국은 설날 축제에서는 웃으며 맞아야 할 의외의 금기
태국의 새해 설날은 매년 4월 중순에 열리는 물의 축제로 유명합니다.
거리 곳곳에서 물을 뿌리며 서로의 복을 기원하는 이 축제는 전 세계 관광객들의 참여로 점점 상업화되고 있지만,
사실 이 축제의 원형은 조상 숭배와 불교적인 정화 의식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물총을 들고 사람의 얼굴에 무작정 물을 쏘거나, 승려나 노인, 임산부에게 물을 뿌리는 행동은 절대 금기입니다.
또한 술에 취한 채 거리에서 소란을 피우거나 선정적인 옷차림으로 돌아다니는 것도 태국 문화에 대한 깊은 무례가 될 수 있습니다.
피해야 할 행동 요약
물놀이를 하더라도 노인, 스님, 아이, 임산부에게는 절대 물을 뿌리지 마세요.
축제라고 해도 속옷 차림, 음란한 복장, 술 취한 행동은 삼가야 합니다.
신발을 벗지 않고 사원에 들어가는 것은 특히 명절에는 더욱 무례한 행동입니다.
한국은 설날과 추석엔 말 한마디가 상처가 될 수 있습니다
한국의 대표적인 명절은 설날과 추석입니다.
이 두 명절에는 가족들이 한자리에 모여 제사를 지내고, 덕담을 나누며 전통 음식을 함께 먹는 시간이 많습니다.
하지만 이 명절은 사적인 질문과 평가가 난무하기 쉬운 시기이기도 하며, 바로 이 점이 중요한 금기가 됩니다.
특히 결혼, 취업, 외모, 자녀 문제, 연봉, 집 문제 등에 관한 질문은 요즘 세대에게는 예민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 주제입니다.
비록 가족 간 대화라고 하더라도, 이 시기에는 개인적인 질문을 삼가고 조심스럽게 화제를 골라야 명절 스트레스를 유발하지 않고 가족 간의 갈등도 줄일 수 있습니다.
피해야 할 행동 요약
“언제 결혼할 거니?”, “취직은 했니?”, “살 좀 쪘다?” 같은 말은 절대 피해야 합니다.
제사 시에 어른들보다 먼저 음식을 덜어가는 것도 실례가 될 수 있습니다.
친척 간 서열이나 재산 문제를 명절 중에 언급하는 것은 큰 불화의 씨앗이 됩니다.
일본은 오봉(お盆) 기간에는 영혼을 방해하지 마세요
일본의 명절은 매년 8월 중순에 열리는 조상 귀환 명절입니다.
이 기간 동안 일본인들은 집에 등불을 밝혀 조상의 영혼이 돌아올 수 있도록 인도하고, 사찰이나 묘지를 찾아 제사를 지냅니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조용하고 경건한 분위기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젊은 층 사이에서는 휴가나 여행 시즌으로 받아들여지는 경향이 있지만, 공공장소에서 지나친 웃음소리, 시끄러운 음악, 술자리는 오봉 기간 동안 금기시되는 행동입니다.
또한 조상의 영혼이 집을 찾는다고 믿기 때문에, 문을 세게 닫거나, 등을 끄는 것도 금기입니다.
피해야 할 행동 요약
오봉 기간 동안은 시끄럽게 노는 행동은 삼가야 합니다.
조상의 제사 음식을 함부로 남기거나, 장난삼아 먹는 것은 큰 무례입니다.
밤에 촛불이나 등불을 꺼뜨리는 것도 좋지 않은 징조로 받아들여질 수 있습니다.
베트남은 설날 기간에 말 조심, 손 조심
베트남의 설날은 음력 설과 비슷한 시기에 열리며, 한 해의 운을 결정짓는 매우 중대한 시기입니다.
이 명절 기간에는 집안에 들어오는 첫 번째 손님이 그 해의 운을 결정한다고 믿는 전통이 있어서,
아무나 집에 방문하는 것은 삼가야 하며, 주인 허락 없이 들어가는 것은 매우 무례한 행동이 됩니다.
또한 이 기간에는 부정적인 말, 불길한 단어, 싸움, 욕설, 울음소리 등이 금기이며,
이런 일이 벌어지면 한 해 내내 나쁜 일이 생길 것이라는 믿음이 강하게 자리잡고 있습니다.
피해야 할 행동 요약
“죽음”, “파산”, “불행” 등의 단어는 절대 사용하지 마세요.
집에 초대받지 않았다면 떳 기간 중 방문은 피하는 것이 예의입니다.
명절 음식에 대한 불만이나 비난은 가족 전체를 모욕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
이집트는 이드 알아드하(종교축제)에는 지나친 질문을 삼가야 합니다
이슬람권 최대 명절 중 하나인 중요한 종교축제는 희생제라는 의미로, 아브라함의 순종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이날에는 양이나 소를 잡아 가족, 이웃, 가난한 사람들과 나누는 의식을 진행합니다.
이 명절은 매우 신성하게 여겨지며, 가축 도축 장면이나 제물에 대한 논쟁, 종교적 질문등 지나친 질문은 삼가야 합니다.
특히 도축을 잔인하거나 비위생적이라고 평가하거나 사진을 찍는 행동은
이슬람 신앙 자체를 모욕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하셔야 합니다.
피해야 할 행동 요약
제사 음식에 대한 평가나 채식 관련 주제를 강하게 주장하지 마세요.
의식 도중 촬영하거나 비판적인 질문을 던지는 행동은 무례합니다.
여성의 복장도 이 기간에는 더욱 보수적으로 유지해야 존중받을 수 있습니다.
명절은 기쁨이지만, 배려 없이는 실례가 됩니다
명절은 가장 전통적인 문화가 농축되는 시기입니다.
그만큼 외부인의 눈에는 사소해 보이는 행동 하나가, 그 나라 사람들에게는 신성한 의식을 더럽히는 실수로 보일 수 있습니다.
음식, 언어, 복장, 눈빛, 심지어는 숨소리조차 민감해질 수 있는 시기이기에, ‘이 정도는 괜찮겠지’라는 태도보다는 조심스럽고 겸손한 자세가 필요합니다. 문화는 서로 다르지만, 존중과 이해는 어디서나 통하는 공통의 언어입니다.
세계의 명절을 이해하고 금기를 지키는 것은 단순한 예의가 아니라, 그 나라의 역사와 정체성을 존중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세계 각 나라의 금기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즈니스 미팅에서 절대 하지 말아야 할 행동 (0) | 2025.07.09 |
---|---|
눈 맞춤이 금지된 나라들 (0) | 2025.07.09 |
건배 구호 함부로 외치면 안 되는 이유 (0) | 2025.07.08 |
신발을 신은 채 들어가면 큰 실례가 되는 나라 (1) | 2025.07.08 |
공항에서 주의해야 할 금기 행동 (3) | 2025.07.07 |